언어학 칼럼 ‘언어를 말하다’
영어는 스페인어로 독일어야

언어학 칼럼 ‘언어를 말하다’, 9호
아이들의 언어는 그만의 아름다움을 지닌다. | ©괴테 인스티투트/일러스트: Tobias Schrank

아이들의 언어는 시적인 동시에 철학적이다. 어른들은 그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우리 딸이 세 살 때 열감기를 앓았다. 며칠 동안 끙끙 앓으며 잠만 자던 딸이 어느 날 아침 고비를 넘기고 멍한 눈으로 나를 바라보더니 물었다. “내가 어디에 있지 않은 거지?” 그리고는 “아빠, 영어는 스페인어로 독일어야.” 하는 것이다. 나는 이를 계기로 딸애와 나중에 태어난 여동생이 뭔가 의미 있는 것을 말할 때면 모든 것을 받아 적기 시작했다. “사계절이 있지.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눈”, “이 공 좀 열어 줄래요?”(오렌지 껍질을 벗겨 달라는 의미), “호랑이는 분명히 생일날 선물로 고기를 받을 거야.” 또는 “물은 부스러기가 생기지 않아.” 시간이 지날수록 작은 이야기들이 만들어졌다. “사람들은 그러니까 몇 개의 인생을 살지. 죽은 사람은 인생에서 무덤에 누워 더 이상 많은 일을 못하게 돼. 먹지도 마시지도 얘기도 못하고, 방귀도 못 끼고, 자전거도 타지 못하고, 책도 못 읽어. 다른 죽은 사람들과 얘기도 못하지. 그대신 자기 해골은 볼 수 있어. 산 사람은 할 수 없는 일이지.”

설명할 수 없는 세계의 놀라움

세월이 지나면서 책 한 권이 채워졌다. 우리는 종종 그 책을 함께 들여다 보곤 한다. 거기에 적힌 말이 당시 상황을 기억하게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떻게 딸애가 말을 배웠는지 우리는 기억하지 못한다. 우린 대화를 많이 했고, 노래도 부르고, 큰 소리로 책도 읽어 주었다. 유치원도 다녔다. 하지만 이런 경험이 다음과 같은 문장을 설명하지는 못한다. “‘분명히’라는 단어는 원래 누가 발명한 거지?” 네 살 때 던진 질문이다.
 
내가 알고 있는 언어습득에 관한 모든 이론이 내게는 설득력이 없다. 여러 이론들이 있고, 모든 이론이 나름 타당한 것처럼 보이는 것만 해도 그렇다. 어떤 이들은 언어능력을 타고난 것으로 보기도 하고, 주위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결과 혹은 아이의 일반적인 성장 과정으로 보기도 한다. 이런 학문적인 설명에는 ‘시문학’이라는 말이 결여되어 있다. 내게 가장 강렬한 의미인, 설명할 수 없는 세계의 놀라움에 대한 접근이라는 의미로서의 ‘시문학’ 말이다.

아이들 언어의 유토피아

아이들의 언어는 그만의 아름다움을 지닌다. 진정한 의미에서 ‘순진무구’하고, 철학적으로 총명하고, 한없이 곰곰이 생각하게 한다. 언어의 본질에 대해서도 말이다. 세상의 각 사물이나 사태는 모두 단어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가? 그리고 단어는 모든 언어에서 서로 다르지 않은가? 물론 친족 관계에 있는 언어에서는 서로 같거나 비슷할 수 있지만. 내가 한 언어의 모든 단어를 안다고 해서 이 언어를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물론 모든 단어를 아는 경우는 결코 없을테지만 말이다. 사전만이 모든 단어를 알고 있고, 사전도 막 생성된 단어는 모른다. 그 언어를 말할 수 없는 이유는 그 언어의 문화를 아직 모르기 때문이다. 원래 의미의 문법은 고사하고 그 맥락, 강도, 사회적 문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모든 것이 어려워 보이는 반면, 아이들의 언어는 얼마나 쉬워 보이는지. 나는 아이들의 언어에 숨어있는 한 가지가 있다고 본다. 그것은 유토피아이다. 언어는 항상 새롭게 배울 수 있다. 왜 다른 방향으로 가보면 안 되는가? 아이에서 어른으로가 아니라, 어른에서 아이로 돌아가면 안 될까? 물론 퇴행, 즉 일부 어른들의 성숙하지 못하고 어리석은 행동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아이들이 특별하게 능력을 보이는 열린 태도, 공감 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믿으려는 마음

한번은 산책하던 중 몇 미터 앞에서 잔디에서 먹이를 찾는 황새를 보았을 때 딸애가 말했다. “동물들은 우리를 ‘믿으려는 마음(Vertrauenslust)’을 가지고 있어. 왜냐하면 우리가 자기를 죽이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지.” 그냥 인간과 동물 사이가 아니라 ‘믿으려는 마음’으로 각인된 세계는 어떤 모습일까? “영어는 스페인어로 독일어야.”라는 문장처럼 (언어적) 경계가 그냥 없다고 생각하는 세계, 우리의 좁은 일상에 집중하기 보다 가끔 한번 “내가 어디에 있지 않은 거지?” 질문을 해보는 세계는 어떤 모습일까?
 
이런 의미에서 마지막으로 딸들의 말을 인용하면서 아이들 언어의 시문학을 간직한 모든 언어 아이들에게 “베를린과 나의 세상으로부터 안부를 전한다.”
 

언어학 칼럼 ‘언어를 말하다’

본 칼럼 ‘언어를 말하다’는 2주마다 언어를 주제로 다룬다. 언어의 발전사, 언어에 대한 작가의 생각과 언어의 사회적 영향력 등 문화적, 사회적 현상인 언어를 주제로 한다. 언어 전문가나 다른 분야의 칼럼니스트들이 돌아가면서 자신의 관심 주제에 대해 6개의 기고문을 연재한다.